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국민건강보험EDI를 통한 4대보험 가입

by abouteightscore 2024. 3. 28.

회사에 직원이 입사하게 되면 4대 보험을 가입해줘야 합니다.

그전에 먼저 체크해야 할 점!!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▶입사서류를 모두 받았는가?


기본적인 입사서류에는 주민등록등본, 이력서, 자기소개서가 있고, 회사마다 건강보험득실확인서, 경력증명서(전 직장)등을 요구하기도 합니다.

[목차]

■  4대 보험 가입=취득신고 기한

- 입사일을 기준으로 <건강보험>은 14일 이내

<국민연금, 고용보험, 산재보험>은 입사일이 속한 월의 다음 달 15일까지입니다.

미신고 시 과태료 부과되니 꼭 가입해주어야 합니다.

- ex) 3월 28일 입사자의 경우 건강보험은 4월 10일까지 /// 국민, 고용, 산재는 4월 15일까지

 

■ 국민건강보험 EDI 접속

- 구글에서 <건강보험 edi>를 검색합니다.

- <국민건강보험 EDI>로 접속합니다.

- 공동인증서로 로그인

국민건강보험EDI 로그입

 

- <받은 문서> 클릭 →<서식닫기> 클릭→아래와 같은 화면에 접속됩니다.

국민건강보험EDI

 

■ 직장가입자 자격취득 신고서

-위에서부터 하나씩 모두 입력해 주면 됩니다.

①신청구분 : 전체 체크(국민연금, 건강보험, 고용보험, 산재보험)

②성명, 주민등록번호 입력

③국민연금 부분 :소득월액, 취득일 입력 (국민연금 쪽에 입력 시 건강, 고용, 산재보험 쪽에 동일하게 입력됨)

④국민연금 부분: 취득부호(ex.1 ;18세 이상 당연취득), 취득월납부여부

⑤건강보험 부분 : 취득부호 (ex.00 ;최초취득) , 피부양자신청

⑥고용보험 부분: 1주 소정근로시간(ex.40), 직종부호, 계약직여부(고용보험 쪽에 입력 시 산재보험 쪽에 동일하게 입력됨)

⑦대상자등록 버튼 클릭

직장가입자 자격 취득 신고서

 

피부양자 신청 시 <파일첨부>에 증빙자료를 첨부해 주시고 

화면 위쪽의 <신고(전송)/신청>을 클릭하면 신고 완료입니다.

다음 포스팅에는 항목별로 어떤부호를 선택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.

 

아참!

♪ 퇴사 직원 4대보험 상실신고에 대한 포스팅은 아래와 같으니 즐겨찾기해주시면 감사합니다♪

중도퇴사직원 건강보험EDI 4대보험 상실신고 (tistory.com)

 

중도퇴사직원 건강보험EDI 4대보험 상실신고

이번시간에는 건강보험EDI에서 4대 보험 상실신고하는 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♪ 4대보험 취득신고에 대해서는 제가 포스팅해 놓은 글을 아래에 첨부했으니 함께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 국민

0appeal0.tistory.com